비모수 통계학
created : Sat, 24 Apr 2021 20:44:25 +0900
modified : Sat, 24 Apr 2021 21:17:55 +0900
1장 서론
1.1 비모수적 방법
통계학은 기술통계학(descriptive statistics)과 추측통계학(inferential statistics)로 나뉜다.
통계적 추론(statistical inference) : 표본으로부터 정보를 이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추측 또는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 접근방법에 따라 모수적 방법, 비모수적 방법, 베이즈적 방법 등으로 분류
확률적 진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얻어진 모집단의 분포에 대한 정보가 필요
모집단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포함수를 가정하는 것이 무리일때, 모집단 분포에 대한 가정을 약화시켜 오류의 가능성을 줄이고 때로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사용해야함. 이를 통칭하여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이라고 함.
비모수적 방법에는 순수 비모수적 방법(truly nonparametric)과 분포무관 방법(distribution free) 가 존재하며, 두 방법을 구분하지 않고 비모수적 방법이라고 부른다.
비모수적 방법에서 흔히 사용하는 모집단에 대한 가정으로는 연속성, 대칭성이 있으며,
흔히 사용하는 도구로는 부호(sign), 순위(rank), 순위에 기초한 점수(score) 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관측값 대신 관측값의 부호와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순위만 사용할 경우 정보의 손실이 많으리라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많은 분포에서 그 정보의 손실이 심각하지 않다.
비모수적 방법의 장점:
-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가정하에서 개발된 통계적 방법이므로, 가정이 만족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오류의 가능성이 적다.
- 데이터가 순위척도(ordinal scale)로 주어져서, 상대적인 크기로 데이터가 주어진 경우에는 순위에 기초한 비모수적 방법이 유용하게 쓰일수 있다.
- 통계적 의미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 통계량의 계산이 모수적 방법에 비해 단순하다.
비모수적 방법의 단점:
- 비모수적 추론에 사용되는 통계량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복잡하며, 이론 전개에 어려움이 많다. 즉, 비모수적 추정량의 분포와 비모수적 검정 통계량의 대립가설하에서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소표본(small sample) 분포를 이용할 수 없으며, 점근분포의 성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 특정한 분포를 가정하고 얻은 모수적 젗라에 비하여 그 특정 분포에서는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 비모수적 통계량의 계산은 단순하지만, 그 계산이 지루하고 단순 반복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준모수적(semi-parametric) 방법 : 모수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의 중간적인 추론방법
1.2 기본 개념
- 추정법:
- 점추정(point estimation)
- 구간추정(interval estimation)
- 검정법:
- 모집단의 분포의 모양, 모수 등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에 기초하여가설의 채택이나 기각을 결정하는 통계적 기법을 가설 검정이라고 한다. 가설에는 $$H_0$$로 표시되는 귀무가설과 $$H_1$$으로 표시되는 대립가설이 있다.
- 신뢰구간:
-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모분산이 알려져 있는 경우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 $$(l,u) = (\bar x - z_{\alpha / 2} \frac{\sigma}{\sqrt{n}}, \bar x + z_{\alpha/2} \frac{sigma{\sqrt{n}}})$$
- 신뢰구간과 기각역에 대한 약속:
- 신뢰구간은 열린구간이다
- 검정통계량의 값이 기각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H_0$$를 기각한다.
- 유의확률 (p-value) 가 유의수준 ($$\alpha$$)보다 작거나 같으면 $$H_0$$를 기각한다.
- 점근 상대효율:
- 추정법이나 검정법을 비교하는 방법
- ARE(asymptotic relative efficiency)
1.3 부호와 순위
- 부호(sign) : 관측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1, 아니면 0으로 부여한 값
- 순위(rank) : 관측값이 작은 값에서 큰 값의 순으로 나열하였을 때의 순서를 나타냄. 전체 표본 내에서 자신보다 작은 관측값의 개수에 1을 더한 값. 동점인 경우 평균순위(midrank, average rank)를 사용
- 부호와 순위를 이용한 검정통계량의 분포는 연속이 아니며, 주어진 유의수준 $$\alpha$$와 같은 크기의 기각역을 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유의확률을 계산하여 유의수준과 비요하여 검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이와같은 문제는 구간추정에서도 발생하며, 미리 설정한 신뢰계수를 만족하는 신뢰구간을 구할 수 없을 때에는 원래의 신뢰계수에 가장 가까운 신뢰계수값을 가지는 신뢰계수를 선택한다.
2장 일표본 위치문제
2.1 서론
한 모집단에서 위치모수(location parameter)의 추론 문제
데이터 : $$X_1, X_2, …, X_n: r.s$$
가정:
- A1. 모형: $$X_i = \theta + e_i, i = 1, 2, \cdots, n, \text{ where $\theta$: (미지의) 위치모수, e: 오차항}$$
- A2. n개의 오차항 e들은 서로 독립
- A3. n개의 e들은 동일한 연속분포에 따름
- A3’. 오차항 e의 중앙값은 0
- A4. 오차항 e는 0에대하여 대칭인 분포에 따름
- A5. $$e \sim N(0, \sigma^2)$$
가정 A1, A2, A3(또는 A3’) 성립을 가정 -> 부호검정
가정 A1, A2, A3, A4 성립을 가정 ->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가정 A1, A2, A3, A4, A5 성립을 가정 -> 모수적 방법
가설 $$H_0:\theta = \theta_0, H_1:\theta > \theta_0$$ 또는 $$H_1: \theta < \theta_0$$ 또는 $$H_1: \theta \not = \theta_0$$
모수적 방법: $$e \sim N(0, \sigma^2)$$ 가정
(주의사항)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닌 경우 구간추정에서 신뢰계수가 $$1-\alpha$$가 되지 않고, 검정에서는 유의수준이 $$\alpha$$가 되지 않는다.
2.2 부호검정
- 부호검정(sign test) : $$H_0$$하에서 위치모수의 값이 $$\theta_0$$ 보다 큰 관측값의 개수만을 이용하여 검정
- 절차:
- 부호검정 통계량:
- $$B = \sum_{i=1}^n \psi(X_i - \theta_0), \text{ where } \psi(x) = \begin{cases} 1, & \text{ if } x > 0 \ 0, & \text{ if } x \le 0 \end{cases}$$
- $$B$$ : $$\theta_0$$ 보다 큰 관측값의 개수
- 검정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