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1등 팀을 만드는가?

created : Mon, 27 Jan 2025 17:05:59 +0900
modified : Sat, 01 Feb 2025 20:09:22 +0900

Chapter 1. 무엇인 효과적인 팀을 만드는가?

1.1 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1.1.1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1.1.2. 다른 연구들

1.2. 동기부여가 성과를 이끌어낸다.

1.3. 효과적인 팀 만들기

1.3.1. 적합한 인재 모으기

1.3.2. 팀정신 일깨우기

1.3.3. 효과적으로 리더십 발휘하기

1.3.4. 성장 지향적인 문화로 효과성을 계속해서 이어가기

Chapter 2. 효율성 vs 효과성 vs 생산성

2.1. 효율성, 효과성, 생산성의 차이점

2.1.1. 목표

2.1.2. 측정방법

2.1.3. 영향 요인

2.2. 성과 vs 결과물

2.2.1. 결과물 및 성과 측정 방법

2.2.2 결과물보다 성과에 집중하기

2.3. 효과적인 효율성

2.3.1. 초심자를 위한 효과적인 효율성

2.3.2. 절충안을 찾기 위한 노력

2.3.3. 팀 생산성을 보는 다른 시각

2.3.4. 효과성과 효율성 사이의 균형

2.3.5. 일상에서 효과적으로 효율성을 달성하는 매일매일의 팁

2.4. 결론

Chapter 3. 효과적인 엔지니어링을 위한 3E 모델

3.1. 활성화

3.1.1. 비지니스 유형과 팀의 크기에 따른 효과성 정의

3.1.2. 효과성에 시동걸기

3.2. 권한과 자율성 부여

3.2.1. 기회는 살찌우고 문제는 굶기기

3.2.2. 개인적 수준에서 효과성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

3.2.3. 팀 효과성 모델 적용하기

3.2.4. 효과성 극대화

3.2.5. 레버리지가 높은 활동 파악하기

3.2.6. 구글에서 얻은 교훈

3.3. 확장

3.3.1. 리더십이 직면한 도전 과제

3.3.2. 리더십의 영원한 세 가지 원칙

3.4. 결론

Chapter 4. 효과적인 관리행동: 구글의 연구

4.1. 옥시젠 프로젝트


Chapter 5. 일반적인 효율성 안티패턴

5.1. 안티패턴 분류

5.2. 개인적 안티패턴

5.2.1. 전문가 (The Specialist)

5.2.2. 제너럴리스트(The Generalist)

5.2.3. 강박적인 수집가(The Hoarder)

5.2.4. 끈질긴 조언자(The Relentless Guide)

5.2.5. 사소한 개선자(The Trivial Tweaker)

5.3. 관행에서 비롯된 안티패턴

5.3.1. 최후의 영웅담(Last-minute heroics)

5.3.2. 종잡을 수 없는 PR 프로세스 (PR process irregularities)

5.3.3. 장기간에 걸친 리팩터링(Protracted refactoring)

5.3.4. 적당히 넘어가는 회고(Retrospective negligence)

5.4. 구조적 안티패턴

5.4.1. 고립된 집단 (Isolated clusters)

5.4.2. 지식 병목 현상(Knowledge bottlenecks)

5.5. 리더십 안티패턴

5.5.1. 과도하게 세세한 관리(Micromanagement)

5.5.2. 범위 관리 실패(Scope mismanagement)

5.5.3. 과도한 계획(Planning overkill)

5.5.4. 회의적인 리더십(Skeptical leadership)

5.5.5. 소극적 리더십(Passive leadership)

5.5.6. 과소평가(Underappreciation)

Chapter 6. 효과적인 매니저

6.1. 엔지니어링에서 관리까지

6.2. 시작하기

6.3. 전략 수립하기

6.4. 시간 관리

6.4.1. 계획

6.4.2. 실행

6.4.3. 평가

6.5. 기대치 파악 및 설정

6.5.1. 나에게 기대하는 결과물은 무엇인가?

6.5.2. 팀원들에게 기대하는 결과물은 무엇인가?

6.6. 의사소통의 필수품

6.6.1. 팀 회의

6.6.2. 일대일 미팅

6.6.3. 메시지 주고 받기

6.6.4. 비언어적 의사소통

6.7 인력 관리

6.7.1 채용

6.7.2. 성과 평가

6.7.3 퇴직 관리

6.7.4. 멘토링과 코칭

6.8 도전적인 프로젝트 관리

6.9 팀의 역학관계 다루기

6.9.1 개인적 특이성과 팀의 다양성

6.9.2. 원격 팀운영

6.9.3. 갈등 해소

6.10 전문성과 성장 촉진

6.10.1. 자투리 시간에 성장이라는 고삐 채우기

6.10.2. 업무량이 많은 기간에도 성장에 힘 실어주기

6.11 네트워킹의 정수

Chapter 7. 효과적인 리더로 나아가기

7.1. 효과적인 리더 vs 효과적인 매니저

7.2. 리더십 역할

7.2.1. 테크리드

7.2.2. 엔지니어링 메니저

7.2.3. 테크 리드 매니저

7.3. 리더십 기술 평가하기

7.3.1. 핵심 특성


7.3.2. 바람직한 리더십 특성

7.4. 효과적으로 리더십 발휘하기

7.4.1. 리더십 방식

7.4.2. 전략 수집

7.4.3. 역할 수행

7.4.4. 효과적인 리더십을 위한 자세